[관심을 위한 자료 Clip]
행사 page http://thinkcafe.org/openconference
8/31 기획모임 회의록: https://docs.google.com/document/d/15nRnnMYoGnJCZNUXv-ksxdSZKQ4fT2PxNaN8xszOlV8/edit?hl=en_US&pli=1
워크숍을 위한 워크숍 https://sites.google.com/site/balsangw4w/
Friday, September 2, 2011
Monday, August 8, 2011
Tuesday, August 2, 2011
Google Earth Outreach
Vancouver Workshop
http://vancouver.earthoutreach.org/Google Earth Tutorials
http://earth.google.com/outreach/tutorials.html
Monday, August 1, 2011
#10월의하늘 개최 도서관
10월의하늘_2011 개최 도서관 - Google 지도
http://maps.google.co.kr/maps/ms?msid=209141997368037306588.0004a8d790e462083c862&msa=0&ll=36.306272,128.979492&spn=4.797941,10.821533
http://maps.google.co.kr/maps/ms?msid=209141997368037306588.0004a8d790e462083c862&msa=0&ll=36.306272,128.979492&spn=4.797941,10.821533
#10월의하늘 공지글
목차
1 기부 분류 및 역할 정의
2 준비 모임 구성
3 도서관 팀 구성
4 10월의 하늘이 열리는 도서관 살펴보기
공지글: http://www.nanumlectures.org/#TOC-1
1 기부 분류 및 역할 정의
2 준비 모임 구성
3 도서관 팀 구성
4 10월의 하늘이 열리는 도서관 살펴보기
공지글: http://www.nanumlectures.org/#TOC-1
2011 #10월의하늘 공식모집 시작
http://twitter.com/#!/eunkim00/status/97913262414381056
http://twitter.com/#!/eunkim00/status/97915063851159552
http://twitter.com/#!/eunkim00/status/97919408722284544
http://twitter.com/#!/eunkim00/status/97921267365199873
http://twitter.com/#!/eunkim00/status/97915063851159552
http://twitter.com/#!/eunkim00/status/97919408722284544
http://twitter.com/#!/eunkim00/status/97921267365199873
트위터 http://twitter.com/#!/eunkim00
http://twitter.com/#!/201010sky
홈페이지 http://www.nanumlectures.org
Monday, June 27, 2011
Saturday, June 25, 2011
블로그와 SNS 어떤게 답인가? - 번외편(@_ZF21)
- 어떤 쪽이든 투명할 수 있을수록 효과를 볼수 있음.
- 정보량이 많아지고 그에 따른 휩쓸림과 의견 쏠림 현상도 심해질 것.
- 정보의 Filtering이라는 측면에서 미디어의 역할이 중요해짐.
- 블로그,SNS,WIKI 세가지의 조화가 답이 될것임.
P.S 설문편: 블로그는 거울이다. 트위터는 무대다. 페이스북은 광장이다. 블로그는 자기를 돌아보게 해주고 트위터는 무대위에 연극처럼 자기이야기를 하고 페이스북은 광장과 같이 토론이 용이 하므로
이럴때 일수록 블로깅 - @capcold (발표영상 포함)
Photodex 로 프리젠테이션을 하셔서 목소리만 들을수 있었습니다.
동기
블로그는 영향행사의 동기
소셜네트워킹은 반응에 대한 동기
홈페이지로 시작해서 웹게시판과 회원관리는 각각 블로그와 소셜네트워킹으로 분화되었다.
콘텐츠를 중심에 놓은 블로그와 소셜네트워크가 합쳐질 때가 효과가 최대가 된다.
시간제약과 각자가진 선입관의 제약, 실력의 부족을 넘어서 각각 장점을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진보지식 생태계적 접근"이라는 마무리가 인상적이었습니다.
발표영상 전체보기
Google Form으로 영어공부하기
아래 주제들은 보지를 못했네요. 영어공부는 중간부터 봤습니다.
Google Form을 활용해서 영어문제를 풀면 바로 이메일로 답과 점수를 보내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참조하시면 좋을것 같네요. 영상보기
Google Form을 활용해서 영어문제를 풀면 바로 이메일로 답과 점수를 보내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참조하시면 좋을것 같네요. 영상보기
왜 블로그는 미디어가 되지 못했는가. - 서머즈
1. 외부적요인
2. 내부적요인
3. 질문의 전환필요
좋은시도였다.블로그 이외에 새로운 미디어가 되려고 시도한 것들이 있었나?
따라하는 모사[ copy, 模寫 ]가 모사[某事]가 되어야.
발표사진
Sunday, June 5, 2011
Subscribe to:
Posts (Atom)